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투자] 기술적 지표 - 추세선, 이동평균선, 거래량

by 밍기록 2023. 1. 30.
반응형

주가는 기업의 가치에 의해 결정되지만, 직접적으로는 시장 참여자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주식 차트를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로는 추세선, 이동평균선, 거래량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해 알아보자.

추세선이란?


주가는 특정 기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추세라고 한다.

주가의 추세는 상승, 하락, 횡보 세 가지가 있다. 상승 추세는 주가의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 하락 추세는 주가의 하락이 지속되는 상황을 말한다.

추세선은 이러한 추세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선으로, 주가 방향을 보여주는 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추세선은 차트에서 고점, 저점들을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저점들을 연결하여 지지선을 만들 수 있으며, 지지선은 주가를 지지하여 하락을 막아주는 선이다. 반면 고점들을 연결하여 만든 저항선은 주가의 상승을 막는 선이다.

따라서 추세선을 분석하여 지지선에서 매수하고, 저항선에서 매도하는 게 중요하다.

출처 : https://donglog47.tistory.com/7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부르며, 특정 기간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을 연결하여 만든 선이다. 이때 평균을 내는 기간에 따라 5, 10, 20, 60, 120일 이동평균선으로 불린다.

이동평균선은 저항선과 지지선의 역할을 하며 주가의 추세를 보여준다. 이동평균선이 위를 향하면 주가의 상승 추세를, 아래를 향하면 주가의 하락 추세를 보여준다.

특히 이동평균선들이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라고 부른다.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교차하여 상승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다는 걸 의미한다.

데드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교차하여 하락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가가 하락 추세에 있다는 걸 의미한다.

출처 : 대신증권


거래량

거래량은 주식시장에서 거래된 주식 수의 총량을 말하며, 주식의 유동성과 자금의 유입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러한 거래량은 주가의 선행지표로 알려져 있다. 만약 주가가 하락 추세에서 거래량이 폭발하면 상승 전환의 계기이고, 상승 추세에서 거래량이 폭발하면 하락 전환의 계기인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거래량은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적 발표, 신제품 공개 같은 사건이 있을 때 거래량을 증가한다.


함께 보면 좋을 글

[미국 주식] 미국 주식과 한국 주식의 차이점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를 '동학 개미'라고 부르며, 미국 등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를 '서학 개미'라고 부른다. 증권 앱을 통해 해외 주식을 손쉽게 거래할 수 있으며, 해외

zih8424.tistory.com

 

[미국 ETF] 미국 대표 우량주에 투자하는 DIA ETF

DIA는 1999년 3월 10일 상장된 미국의 Standard&Poor's Depository Receipts (SPDR)에서 운용하는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S&P500, 나스닥100과 함께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3대 지수..

zih8424.tistory.com

 

[미국 ETF] 미국 대표 기술주에 투자하는 QQQ ETF

QQQ는 1999년 3월 10일 상장된 미국의 자산운용사 Invesco에서 운용하는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SPY와 함께 한국인이 많이 투자하는 ETF 중 하나이며, 이러한 QQQ가 어떤 특징과 투자

zih8424.tistory.com

 

[미국 ETF]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기업에 투자하는 SPY ETF

SPY는 1993년 1월 22일에 상장한 미국 주식 ETF로 전 세계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ETF입니다. 이러한 SPY가 어떤 특징과 투자 매력을 가지고 있는지 다뤄보겠습니다. SPY 기본 정보 SPY는 S&P500 지수를

zih8424.tistory.com

 

반응형

댓글